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거주자 우선주차 신청은 정기 접수기간( 1~3월, 8~9월 연 2회 )이 있습니다.

     

    불법으로 주차했을 때는 신고가 필요합니다.

     

    아래 내용에서 확실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거주자 우선주차 신고방법

     

    ✅무단으로 등록 차량이 불법주차한 경우는 처벌 대상입니다.

     

    신고사항에 해당되면 통보하지 않고 견인되고 주차 방지로 처벌에 있을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신고방법은 '안전신문고'앱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더 자세한 내용은 안전신문고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아래 링크에서 불법주정차를 신고하세요!

     

     

    👇🏻👇🏻👇🏻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  

    1) '불법주정차신고' 메뉴를 통해 신고해야 사진에 촬영 시간이 표시되어 단속이 가능합니다.

       
    2) 위반 시간을 1분, 5분 이상 간격으로 사진을 최소 두 장 찍어서 첨부해야 합니다.

       
    3) 사진 두 장 모두 위반 내용과 차량 번호가 분명히 보여야 하며,
         위반 장소와 안전 표시 등이 확인되어야 합니다.

       
    4) 동일한 장소에서 사진을 찍어야 합니다.

       
    5) 촬영 후 빠른 시간안에 제출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거주자 우선주차 신청 방법

     

    본인 거주 지역이 가장 중요합니다.

     

    만약 서초구에 거주하고 있다면, 서초구 거주자 우선주차를 검색하여 해당 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
     

    가입 후 신청 또는 배정을 하면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    1.현재 거주하고 계신 지역의 거주자 우선주차 신청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
     
    2.회원가입 후 주차신청을 진행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오프라인 신청방법

     

    본인 주민등록등본과 차량등록증을 가지고 방문 신청하면 됩니다.

     

    주차구역 배정순위는 1~4순위까지 있는데,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 

    1순위 -해당 지역 인접 거주자 중에서 장애인 차량/국가유공자

     

    2순위 -해당 지역 인접 거주자 중에서 해당 지역 차량 등록자와 3년 이상 계속 거주 주민 차량

     

    3순위 -해당 지역 인접 거주자 중에서 해당 지역 차량 등록자와 3년 미만 계속 거주 주민 차량

     

    4순위 -해당 지역 근무처 사업장이 위치한 자의 차량 필요 서류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거주자 준비서류

    자동차등록증, 주민등록초본

     

    근무자 준비서류

    자동차등록증, 재직증명서, 사업자등록증

     

    할인 대상자 준비서류

    장애인등록증, 저공해자동차증명서, 성실납세증, 국가유공자증 등 해당 증명서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인기 글을 확인해주세요!

     

    배회감지기 무상 신청 바로가기

    배회감지기 신청을 알아보고 계시죠? 치매혼자와 발달장애 가족을 돌보시는 분들에게 희망적인 소식이 있습니다. 배회감지기는, 단가 28만 원 상당의 기기로, 수량이 4,950여 대로 한정되어 있

    ddd.blue4sky.com

     

    홈택스 무소득사실증명원(소득없음증명서) 발급 바로가기

    ▼ 1. 아래링크로 홈택스 접속 ▼ 2. 메인 페이지  ▼ 3. 클릭 후 클릭 ▼ 4. 민원처리결과 조회 - 클릭  ▼ 5. 민원처리결과 조회 - 클릭 ▼ 6. 민원처리결과 조회 : 무소득 증명서 발급하기   ★

    ddd.blue4sky.com

     

    "지적전산자료조회결과" 인터넷 발급하기 조상 땅 찾기

    K-Geo 플랫폼에 들어가셔서 내 토지 찾기 서비스를 눌러 발급을 진행하시면 됩니다. 해당 시군과 구청 내의 지적과에 직접 찾아가 발급받아도 됩니다. 하지만 번거로운 과정이다 보니 인터넷으

    ddd.blue4sky.com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